뇌졸중 환자에서 신체 활동이 집중 신경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뇌졸중 환자에서 집중력은 흔하게 손상되고, 집중력 손상은 새로운 정보의 습득, 기억, 실행기능 등 전반적인 인지 영역에서 기능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뇌졸중 후 인지기능 손상은 학습, 기능 회복, 삶의 질, 보호자의 부담에 모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성공적인 재활을 위해 가장 먼저 극복되어야 할 문제라 할 수 있다.
최근 손상된 인지기능에 대한 극복이 뇌졸중 환자에서 성공적인 재활을 위해 우선되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에 발표되어 소개한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62명, 정상인 27명을 대상으로 신경심리검사 및 Resting fMRI를 시행하여 Dorsal Attention Network 및 Ventral Attention Network의 Resting-State Connectivity에 대한 뇌지도를 계산하였다. 신체 활동에 대한 정보는 Electronic Arm Band를 일주일간 착용하여 수집하다.
신체 활동과 Dorsal Attention Network Connectivity 및 Ventral Attention Network Connectivity와의 연관성을 Seed-Based Connectivity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뇌졸중 환자 및 정상인에서 Dorsal Attention Network 및 Ventral Attention Network는 모두 활성화되어 있었고, 뇌졸중 환자에서 Temporal Pole, Prefrontal Cortex, Posterior Cingulate를 포함하는 Dorsal Attention Network에서 Connectivity가 증가되어 있었다.
뇌졸중 환자에서 신체 활동이 증가할수록 Right Dorsal Intraparietal Sulcus, Right Dorsal Frontal Eye Field, Left Superior Parietal Lobule 에서 Connectivity가 증가하여 양측 반구간 Dorsal Attention Network의 Connectivity가 증가되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Stroke Volume을 보정하고 나서도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신체 활동을 증가시키는 재활 치료는 뇌졸중 후 발생하는 집중력 감소의 회복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이를 뒷받침하는 뇌가소성은 Dorsal Attention Network의 Connectivity의 증가임이 증명되었다.
※ Source : Michele Veldsman, PhD; Leonid Churilov, PhD; Emilio Werden, Qi Li, MEng; Toby Cumming, PhD; Amy Brodtmann, MD, PhD. From Nuffield Department of Clinical Neurosciences, University of Oxford, John Radcliffe Hospital, Oxford, UK; University of Melbourne,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University of Melbourne, Heidelberg,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Monash University,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Corresponding Author: Michele Veldsman, PhD, The Florey Institute for Neuroscience and Mental Health, 245 Burgundy Street, Heidelberg, Victoria 3084, Australia. Email: michele.veldsman@ndcn.ox.ac.uk. Physical Activity after Strok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erhemispheric Connectivity of the Dorsal Attention Network.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February 2017, Volume 31, Issue 2, 157-167. doi: 10.1177/1545968316666958. Epub 2016 September 24. (http://journals.sagepub.com/doi/abs/10.1177/15459683166669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