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March 10, 2017

Holter-Electrocardiogram-Monitoring in Patients with Acute Ischaemic Stroke (Find-AF RANDOMISED): An Open-Labe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홀터-심전도 감시(Find-AF randomized) 무작위 배정 공개 임상시험

심방 세동은 허혈성 뇌졸중 재발의 주요 위험 인자이다그러나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심방 세동은 종종 진단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장기간의 홀터를 통하여 심전도 감시로 심방 세동의 진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통상적인 진료에 비하여 홀터를 통한 심전도 감시로 장시간 심장 박동을 자세히 조사하는 것이 심방 세동 발견에 긍정적인 도움이 되는 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The Lancet Neurology에 발표되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Find-AF Randomized 임상 시험은 독일의 4개 센터에서 시행된 무작위 배정 공개 임상 시험이다본 연구에서는 증상 발생 이후 7일이 경과하지 않았으며 60세 이상의 심방 세동 과거력이 없는 동성 심박동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를 본 임상 시험에 포함하였으며동측의 경동맥이나 두개강 내 현저한 협착이 있는 환자는 임상 시험에서 배제하였다또한 그 외의 경우는 추측되는 뇌경색의 기전과 관계 없이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컴퓨터에 의하여 생성된 무작위 배정표를 이용하여 시험군과 대조군을 1:1로 배정하였고블럭 크기는 2, 4, 6, 8을 혼용하는 방법을 택했다시험군은 장기간의 홀터 검사(10일 이상의 홀터 감시)를 받았으며대조군은 표준적인 치료(24시간의 홀터 감시)를 받았다임상 시험 참여자 및 진료 의사는 환자의 임상 시험군/대조군 배정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임상 시험의 결과 변수는 전문가로 조직된 중앙 위원회에서 판정하도록 하여 객관성을 높이는 방법을 택했다.

본 임상 시험의 일차 결과 변수는 뇌졸중 재발 이전 그리고 무작위 배정 이후 6개월 이내의 심방 세동 혹은 심방 조동(30초 이상)의 발생이었다홀터 심전도 감시는 매우 널리 사용되며 환자에게 해가 되지 않으므로안전성에 대해 자세한 조사를 시행하지 않고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에 무리가 없었다본 임상 시험의 분석은 환자 배정군에 따라 시행(interntion-to-treat)하였고, ClinicalTrials.gov에 등록(등록 번호 NCT01855035)하였다.

본 임상 시험에는 2013 5 8일부터 2014 8 31일까지 총 398명의 환자를 수집하였으며이중 200명은 장기간의 홀터 감시군에 배정되었고나머지 198명은 표준 치료군에 배정되었다. 6개월이 경과한 후 연구 결과로 장기 홀터 감시군 200명 중 14%에서 심방 세동을 발견(27)되었고대조군에서는 198명 중 5명인 5%에서 심방 세동을 발견하였다(절대 차이 9.0%, 95% 신뢰구간 3.4~14.5, p=0.002)

결론적으로이 임상 연구를 통하여 급성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한 60세 이상의 환자에서 장시간의 홀터 감시는 심방 세동 진단에 있어 표준 진료에 비하여 우월함이 확인되었다이는 심방 세동을 진단하여 약물 치료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60세 이상의 뇌졸중 환자에서 장기간의 심전도 감시를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겠다.

Source : Prof Rolf Wachter, MD; Klaus Gröschel, MD; Prof Götz Gelbrich, PhD; Prof Gerhard F Hamann, MD; Prof Pawel Kermer, MD; Jan Liman, MD; Joachim Seegers, MD; Katrin Wasser, MD: Anna Schulte, MS; Falko Jürries, MD; Anna Messerschmid, MS; Nico Behnke, MD; Sonja Gröschel, MD: Timo Uphaus, MD; Anne Grings, MD; Tugba Ibis, MD; Sven Klimpe, MD; Michaela Wagner-Heck, MD; Magdalena Arnold, MD; Evgeny Protsenko, MD; Prof Peter U Heuschmann, MD; Prof David Conen, MD; Mark Weber-Krüger, MD for the Find-AFrandomised Investigators and Coordinators. From Clinic for Cardiology and Pneumology, University of Göttingen, Göttingen, Germany; DZHK (German Centre for Cardiovascular Research), partner site, Göttingen, Germany. Email: wachter@med.uni-goettingen.de. Holter-Electrocardiogram-Monitoring in Patients with Acute Ischaemic Stroke (Find-AF RANDOMISED): An Open-Labe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Neurology. April 2017, Volume 16, No. 4, 282-290. doi: 10.1016/S1474-4422(17)30002-9. Epub 2017 Feb 8. (http://thelancet.com/journals/laneur/article/PIIS1474-4422(17)30002-9/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