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May 01, 2017

Intensive Speech and Language Therapy in Patients with Chronic Aphasia after Stroke: A Randomized, Open-Label, Blinded-Endpoint, Controlled Trial in a Health-Care Setting

만성 뇌졸중환자에서의 실어증에 집중 언어치료의 효과에 관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

실어증에 대한 치료 가이드라인에서는 발병 6개월 이후의 만성 뇌졸중 환자의 집중 언어치료를 추천하고는 있지만그 효과에 대한 대규모 무작위 대조군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최근만성뇌졸중 실어증 환자에서 3주간의 집중언어치료가 일상생활에서 언어적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The Lancet에 발표되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독일의 19개의 입원과 외래 재활센터가 참여하는 다기관 무작위 대조군 연구로 진행되었다실어증이 있는 만성뇌졸중 70세 이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집중 언어치료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으며집중 언어치료군은 3주간 주 10시간 이상의 언어치료를 받았고 대조군은 3주간의 대기 이후 3주간의 집중언어치료를 받았다.

일차 유효성평가 변수는 그룹간 3주째 일상생활에서의 언어적 의사소통능력 (Amsterdam-Nijmegen Everyday Language Test A-scale)의 차이였다모든 분석은 modified intention-totreat population을 이용하였다.

본 임상 시험에는 3주간의 집중 언어치료군에 79명이대조군에 79명이 배정되었으며언어적 의사소통능력이 집중 언어 치료군에서는 3주째 평균 2.61(95% CI 1.49 3.72)점 호전되었으나 대조군에서는 3주간의 대기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0.03, 95% CI -0.94 0.88). 양군간의 3주째score의 차이는 유의하였다(Cohen's d 0.58; p=0.0004).

결론적으로, 3주간의 집중 언어치료는 70세 이하의 실어증이 있는 만성 뇌졸중환자에서 유의하게 언어적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켰다이것은 뇌졸중 만성기에도 집중 언어치료가 효과적인 근거중심의 치료법임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겠다추가적으로 유의한 치료효과를 얻기 위한 최소한의 치료의 양과 또한 반복적인 치료를 통해서 치료효과의 증진이 있는지를 여부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ource : Dr Caterina Breitenstein, PhD; Prof Tanja Grewe, PhD; Prof Agnes Flöel, MD; Prof Wolfram Ziegler, PhD; Luise Springer, PhD; Prof Peter Martus, PhD; Prof Walter Huber, PhD; Prof Klaus Willmes, PhD; Prof E Bernd Ringelstein, MD; Karl Georg Haeusler, MD; Prof Stefanie Abel, PhD; Ralf Glindemann, PhD; Prof Frank Domahs, PhD, Frank Regenbrecht, MA; Klaus-Jürgen Schlenck, PhD; Marion Thomas, MA; Prof Hellmuth Obrig, MD; Ernst de Langen, PhD; Roman Rocker, MD; Franziska Wigbers, MD; Christina Rühmkorf, Cand Med; Indra Hempen, BA; Jonathan List, MD; Prof Annette Baumgaertner, PhD for the show FCET2EC study group. From Department of General Neurology (formerly Department of Neurology), University of Münster, Münster, Germany. Intensive Speech and Language Therapy in Patients with Chronic Aphasia after Stroke: A Randomized, Open-Label, Blinded-Endpoint, Controlled Trial in a Health-Care Setting. The Lancet. 15 April 2017, Volume 389, No. 10078, 1528-1538. doi: 10.1016/S0140-6736(17)30067-3. (http://www.thelancet.com/journals/lancet/article/PIIS0140-6736(17)30067-3/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