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November 21, 2011

High-Intensity Signal on TOF MRA Indicates Carotid Plaques at High Risk for Cerebral Embolism

MRA TOF Plaque내 고신호강도 영역의 존재와 시술 후 대뇌 색전증의 발생 위험
 
경동맥 절제술에 비해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이 갖는 최대 단점은 시술 후 불안정한 Plaque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혈전 및 이로 인한 대뇌 색전증이다. 따라서 만약 검사를 통해 시술 전에 혈전이 발생하기 쉬운 불안정한 Plaque을 미리 감별 할 수 있다면 실제 임상에서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의 적응증을 좁히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 Stroke지에 MRI TOF 이미지 상에서 Plaque내에 고신호강도(High Signal Intensity: HIS) 부위가 관찰되면 이는 불안정한 Plaque일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시술 후 대뇌 색전증을 일으킬 가능성 역시 높다고 주장하는 논문이 게재되었다.
 
연구자들은 우선 30명의 경동맥 절제술 환자의 조직을 통해 MRI TOF 이미지 상 HIS를 보이는 Plaque의 실제 병리 소견을 분석했다.
 
그 결과 HIS가 관찰되는 Plaque(51.8%±9.8%)에서 그렇지 않은 Plaque(8.6%±9.4%; P<0.001)에 비해 병리 소견상 출혈이 관찰되는 부위가 더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112명의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MRI TOF 이미지 상 HIS가 관찰되는 Plaque이 있는 환자들(25/38; 65.8%)에서 그렇지 않은 환자(26/74; 35.1%; P=0.002)들에 비해 시술 후 DWI상 허혈성 변화를 보이는 부분이 관찰되는 경우가 많았다.
 
허혈성 증상을 보이는 경우 역시 HIS가 관찰되는 Plaque이 있는 환자들(7/38; 18.4%)에서 그렇지 않은 환자(1/74; 1.4%; P=0.003)들에 비해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들은 TOF 이미지상 Plaque HIS가 관찰되면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대뇌혈전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Source: High-Intensity Signal on Time-of-Flight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Indicates Carotid Plaques at High Risk for Cerebral Embolism During Stenting. Shinichi Yoshimura, et al. Stroke. 2011; 42: 3132-3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