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March 10, 2007

근막통증증후군... ‘욱신욱신’ 어깨통증, 나쁜 자세부터 고치세요!

▶ 근막통증증후군
 
근막통증증후군이란 주로 뒷목이나 머리, 허리 등과 같은 국소부위의 통증을 호소하는 가장 흔한 근골격계 질환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증상을 가지고 있다.
 
▣ 국소부위에서 통증을 느끼고,
 
▣ 해당 부위의 근육에는 단단한 띠나 결절처럼 만져지는 통증 유발점이 존재하며,
 
▣ 해당 통증 유발점을 손으로 압박하면 국소적인 통증과 함께 연관되는 부위에 쑤시는 듯한 통증이 흔히 발생하며,
 
▣ 바늘과 같은 것으로 통증 유발점 내에 경직된 띠(taut band)를 자극하면 종종 근육의 국소 연축을 야기한다.

▶ 주로 뒷목이나 어깨 주변에 잘 생겨
 
근골격계의 통증을 호소하는 분들 중 약 30~70% 정도가 근막통증증후군을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될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몸의 모든 근육에 발생할 수 있으나, 주로 뒷목이나 머리, 어깨 주변, 허리의 근육에 잘 생긴다. 흔히들 해당 부위가 묵직하게 짓누르듯이 아프고, 좀 쉬면 좋아졌다가 과로하거나 특정 안 좋은 자세를 취하거나 스트레스 등 심리적으로 긴장상태가 오래되면 증상이 악화된다.
 
많은 분들이 후두부나 뒷목의 지속되는 통증으로 중풍이나 고혈압 등 뇌혈관계의 이상을 걱정하여 병원을 찾게 되지만 이들의 대부분이 근막통증증후군으로 이 질환은 뇌나 심장 등과는 전혀 무관하다.
 
▶ 지속적인 나쁜 자세나 특정 동작의 반복적 움직임에 의한 근육 경직이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지속적인 나쁜 자세나, 특정 동작의 반복적인 움직임에 의한 해당 근육의 과도한 수축과 이로 인한 국소 혈류순환 장애로 근육이 지나치게 경직되어 생기는 것으로 판단된다.
 
책상에서 독서나 오랜 컴퓨터 작업을 하는 직업에서 등의 나쁜 자세에 의한목 주위 근육의 경직으로 인한 뒷목과 머리의 뻐근하고 댕기는 통증이나, 미용사들이 머리를 빗고 자르기 위해 반복적으로 팔을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한 해당 어깨와 날개죽지 주변의 근육 경직에 의한 묵직한 통증 등이 대표적이다.

그 외에도 직간접적인 외상, 반복적인 염좌, 운동 부족 및 과도한 스트레스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 진단은?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검사실 검사나 방사선 검사도 없고 신경학적 이상도 없다.
 
국소적인 부위에 통증이 있으면서, 경험 많은 의사에 의해서 통증을 호소하는 부위에서 통증 유발점을 발견하고, 해당 부위를 압박시 평상시의 통증이 유발되며, 신경학적 검사상 이상 소견이 없는 것이 증명되어야 한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경험이 풍부한 주치의의 감각이 진단에 가장 중요하다.
 
▶ 치료는?
 
▣ 약물치료
 
소염진통제, 근육이완제, 진정제, 항우울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근본적인치료 방법은 아니며, 일시적인 통증 완화 효과를 위해 사용되며 대부분 다른 치료법의 보조치료로 이용된다.
 
▣ 스트레칭
 
통증을 유발하는 경직된 근육을 반복적으로 이완시켜 근육의 경직을 완화시키거나 풀어주는 방법이다.
 
▣ 마사지
 
평소 통증이 있는 부위 중 눌러 보았을 때 가장 통증이 심한 곳을 엄지 손가락으로 지긋이 10여 초간 눌렀다 떼는 것을 반복하면 된다.
 
▣ 물리치료
 
가장 전통적인 치료법 중 하나로 온도차이를 이용한 한팩, 온열램프, 한랭치료 등이 있고, 기계적 자극을 이용한 초음파 치료, 저에너지 레이저 치료, 전기 치료 등이 있다.
 
▣ 통증 유발점 주사요법
 
근육 속에 존재하는 단단한 통증 유발점을 찾아서 이곳을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정확히 파괴하면 근육의 경직이 풀려서 통증이 완화되거나 사라지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치료법이다.
 
▣ 근육내 자극요법(IMS; Intramuscular St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