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경우 뇌졸중 환자는 무조건 '~ 해야 한다'는 식의 잘못 알려진 민간요법이나 정보들에 많은 사람들이 그대로 믿고 있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은 무조건 먹지 않으려 하거나, 무조건 양방 병원에서 퇴원하면 침을 맞거나 보약을 먹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는 잘못된 생각이며 뇌졸중 환자 또한 정상인과 똑같은 식사 형태를 갖추되, 특히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주의하면 된다.
▶ 고혈압 환자 식이 - 염분 섭취 제한
짜게 먹는 것은 고혈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나이를 먹으면 고혈압이 생기기 쉬운데 평소의 과다한 염분 섭취는 이렇게 나이를 먹음에 따라 혈압이 오르는 주요 원인이 된다. 한 연구에 의하면 하루에 5.8 그램의 염분 섭취를 더 하면 30년 후 수축기 혈압이 9 mmHg 오른다고 한다. 다른 연구에 의하면 하루에 4 그램 이하의 염분을 섭취하는 사람이 나중에 고혈압이 생길 가능성은 3%인데 반해 20 그램 이상 섭취하는 사람은 30%라고 한다.
하지만 염분을 섭취한다고 모든 사람에서 일정하게 혈압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은 평소 싱겁게 먹는데도 혈압이 높은 반면 짜게 먹는데도 혈압이 정상인 사람도 있다. 즉 염분 섭취에 대한 혈압의 변화는 개개인의 염분에 대한 민감도(sensitivity)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생리학적으로 사람에게 꼭 필요한 염분의 양은 하루 3 그램 이하이나 보통 한국 가정에서는 하루 15~20 그램 정도의 염분을 섭취하는 것 같다. 따라서 고혈압 환자에서는 원칙적으로 염분 섭취를 하루 3 그램 이하로 줄이는 것이 좋으나, 이것은 완전히 자연식을 하지 않는 한 실제적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므로 하루 염분 섭취량 10 그램 이하를 목표로 삼는 것이 현실적이라 할 수 있다.
가공 식품은 자연 식품에 비해 염분이 훨씬 많이 들어 있으며, 영국에서 조사된 한 보고에 의하면 우리가 섭취하는 염분의 65~85%는 가공 식품을 통한다고 한다. 한편 자연 식품 중에는 채소, 과일에 비해 육류에 염분이 더 많이 들어 있다. 따라서 염분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공 식품 보다는 자연 식품을, 육류보다는 채소, 과일을 많이 먹는 것이 좋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hjw58thmvpYvYdeqwSqOORCij_Azsj44wc6S7xlVf4moffecbvW2oOPvRbR8GBanVUWgPYrK3SPhG7HrIdmNq8QTcvl3KDAtYN7Kh3s7e-UlyeaYbfEvQHBpr0TUouK3Rpa6tVuQ/s1600/%25EB%2582%2598%25ED%258A%25B8%25EB%25A5%25A8%25ED%2595%25A8%25EB%259F%2589.jpg)
☞ 조리할 때 소금을 조금만 사용하거나 아예 넣지 않고, 대신 식초나 들깨 가루 등을 이용한다.
☞ 음식을 만든 즉시 염분이 스며들기 전에 바로 섭취한다. 염분이 음식에 스며든 후에는 덜 짜게 느껴지므로 소금이나 간장을 더 치게 되기 때문이다.
☞ 쌀밥을 적게 먹음으로써 김치, 국, 젓갈 등 소금이 많이 들어 있는 반찬 종류를 줄이도록 한다.
☞ 가능하면 신선한 재료를 선택하여 엷은 맛으로 입맛을 돋우도록 한다.
☞ 일일이 염분 함량을 계산하기보다는 가급적 온 식구가 싱겁게 먹도록 하는 것이 신경도 덜 쓰이고 오랫동안 지켜 나갈 수 있어 좋다.
☞ 염분을 많이 들어 있는 가공 식품(통조림, 냉동 식품, 치즈, 햄, 베이컨, 소시지 등), 젓갈류(명란젓, 어리굴젓 등)는 되도록 먹지 않도록 한다.
☞ 외식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식당에서 먹는 음식은 염분이 많이 들어 있으며 손님 마음대로 염분의 양을 조절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 당뇨병 환자의 식이
▣ 당뇨병 환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 첫째, 규칙적인 식사를 한다. 규칙적인 식사란 일정량을 일정한 시간에 먹는 것을 말한다. 간혹 과식을 하거나 간식을 하는 것도 좋지 않다. 경구혈당강하제나 인슐린을 쓰더라도 정규적으로 식사하는 것이 중요하고, 혹 식사를 하지 않는 경우 저혈당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당뇨병 환자는 약주를 자주 하면 술 자체 칼로리가 높아 당뇨 수치도 올라가고 식사도 거르게 되어 당뇨 조절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술은 절대 금물이나 한달에 한 두 번 한두잔 하는 것은 무방하다.
☞ 둘째, 설탕이 직접 들어간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사탕, 초코렛, 아이스크림, 과자, 청량음료, 커피 마실 때 넣는 설탕 등) 설탕을 꿀로 대신 하는 경우는 옳지 않다. 단맛이 꼭 필요하다면 인공감미료로서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밝혀진 아스파탐제재를 쓰는 것도 좋으며(이는 시중에서 "그린스위트"라는 이름으로 판매됨), 단맛을 내는 과일은 적절히 들어도 좋다.
☞ 셋째, 시장기가 있을 때는 무조건 굶거나 식사를 많이 하는 것보다 쇠고기, 돼지고기, 생선 등 어떤 단백질 음식으로라도 보충하는 것이 좋고, 단지 기름은 반드시 발라내고 먹는 것이 좋다.
☞ 넷째,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좋다. 운동의 종류로는 유산소성 운동 즉 산책, 등산, 자전거타기, 배드민턴 또는 수영 등이 좋다.
▶ 저혈당 관리
▣ 증상
온몸이 떨리는 느낌이 있고, 기운이 없으며, 식은땀이 나고 심장이 뛰면서 불안해지고, 입술 주위나 손끔이 저려 온다.
♣ 처치 방법 ♣
☞ 빨리 설탕물을 100cc정도 마시거나 알사탕을 2-3알 먹는다.
☞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즉시 병원으로 옮겨 응급조치를 해야 한다.
☞ 약물요법을 하는 경우에는 저혈당에 대비하여 반드시 알사탕이나 쵸콜렛을 휴대하도록 한다.
♣ 외식시 주의 사항 ♣
☞ 과식을 하거나 한가지 음식에만 치우친 식사를 하지 말고, 한 끼니에 허용된 식사분량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에 알맞는 식사를 한다.
☞ 기름 사용이 많은 중국음식이나 튀김, 전보다는 담백하고 다양한 식품이 골고루 포함되어 있으며, 분량조절이 가능한 음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 육류를 먹을 때는 눈에 보이는 기름기나 껍질(닭고기)을 제거한 후 먹는 것이 좋다.
♣ 여행시 주의사항 ♣
☞ 여행시에는 식사시간이 늦어지거나 운동량이 많아져 저혈당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간식을 미리 준비하도록 한다.
☞ 식사와 간식은 되도록 정해진 시간에 먹는 것이 좋다.
☞ 물을 바꾸어 마시면 설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끓인 물이나 시판중인 생수를 마시도록 한다.
☞ 인슐린이나 경구혈당강하제, 혈당 검사기구를 반드시 지참하고, 여행 전 주치의와 여행시 약물요법에 대하여 상담하도록 한다.
☞ 여행지의 특산물이나 별미 음식을 미리 알아두어 식사 계획을 해두는 것이 좋다.
▶ 고지혈증 환자의 식이
모든 뇌졸중 환자가 콜레스테롤 섭취를 줄일 필요는 없다. 고지혈증이 뇌혈관의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뇌졸중과 고지혈증이 썩 밀접하지는 않고, 또한 너무 콜레스테롤이 낮은 것도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혈액검사를 통해 고지혈증으로 진단(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200 mg/dl, 중성지방 수치가 200 mg/dl 이상)받고, 평소 기름기가 많은 음식을 섭취한 사람, 비만한 사람에서는 콜레스테롤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다.
식이요법은 하루 콜레스테롤 섭취를 300 mg 아래로 줄이며, 칼로리를 제한한다. 술도 금하거나 적은 양(하루에 소주 2잔 정도)으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은 달걀 노른자, 오징어, 간, 마요네즈 등이고 반면 닭, 돼지, 소 등의 살코기에는 콜레스테롤이 썩 많지 않으며, 채소, 과일 종류에는 거의 없다. 다음은 주요 식품의 콜레스테롤 함유량을 표시한 것이다.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h8RteySYUKHtzrDObPuUDc-ZZhv9VFMn3DoBYFXT5J1Ech00uVrdAbWenDSCA1BxuPVEssD1Hd_jnSiDHv8YTTZ-3AY8-1HIq6Zf5xCn09n6IcRRR1FIwwPxSL7G9GSkK6zR-J5Q/s1600/%25EC%258B%259D%25ED%2592%2588%25EC%25A4%2591%25EC%259D%2598%25EC%25BD%259C%25EB%25A0%2588%25EC%258A%25A4%25ED%2585%258C%25EB%25A1%25A4%25ED%2595%25A8%25EB%259F%2589.jpg)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Ubw1WtUcNcai3eXWH6c-xgs0unxENi_a-BoGxHV-4NBpvkdF9gP-N5PDr0utb_XgQ1DCthvjyphNqVL7AR7KPgkrIDsZp2ev_Tasaa38s7Xg8HnjHcsVu3PpQQqtT4NwL7C5-0g/s1600/%25ED%2597%2588%25EC%259A%25A9%25EC%258B%259D%25ED%2592%258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