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February 17, 2016

Effects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n Lower Extremity Spasticity and Motor Function in Stroke Patients


뇌졸중 환자의 하지 경직(Lower Extremity Spasticity)과 운동기능에 미치는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의 영향에 관한 연구


저빈도 반복적 자기자극(low-frequency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하지(lower extremity; LE) 경직과 운동기능, 운동신경의 흥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지에 발표되었다.


본 연구는 무작위 sham-대조 교차(randomised sham-controlled cross-over trial) 연구로 1주 이후 추적 관찰하였다. 20명의 뇌졸중 환자가 자극군 10, sham 대조군 10명으로 무작위 분배되었다. 그들 중 14(각군 7)이 한달 간의 약물 유실 기간을 두고 교차 연구를 진행하였다.


반복적 자기 자극은 5일동안 매일, 건측 다리의 운동 영역에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과 sham 자극 (1000 pulse, 1Hz, 전경골근 역치의 90%)을 시행하였다. 평가 항목으로는 modified modified ashworth scale(MMAS), H-reflex, 하지 Fugl–Mayer assessment(LE-FMA)timed UP and GO(TUG)를 시행하였으며, 모든 평가는 실험 직전, 실험 직후, 실험 후 1주 경과된 시점에서 3번에 걸쳐서 측정하였다.


Frideman’s test 결과, 반복적 자기자극을 시행한 군에서만 MMAS의 호전이 있었으며, 자극을 시행한 뒤 1주일까지 이 영향은 지속되었다. 반복 측정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 결과, lower extremity section of Fugl-Mayer assessment(LE-FMA)에서 시간경과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효한 호전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modified modified ashworth scale(MMAS)와 하지-FMA에서 두 군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Hmax/Mmax ratio TUG(timed UP and GO) 또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저빈도 반복적 자기자극(Low-frequency rTMS)을 만성 뇌졸중 환자의 하지운동 영역(LE motor area)에 시행하였을 때 근육 경직과 운동 기능 임상적 지표의 호전을 가져올 수 있었으며, 추후 경직의 호전에 대해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Source : Rastgoo M, Naghdi S, Nakhostin Ansari N, Olyaei G, Jalaei S, Forogh B, Najari H. Effects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n lower extremity spasticity and motor function in stroke patient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016 Feb 15:1-9.
(http://www.ncbi.nlm.nih.gov/pubmed/26878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