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기의 음주와 뇌졸중 위험에 관한 ARIC(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연구
가벼운 음주는 심혈관계에 이득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음주와 뇌졸중과의 관계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음주와 허혈성 뇌경색,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사이의 관계를 두 인종의 코호트 연구(중년, 음주량
자가보고)로 평가한 결과가 Stroke 학술지에 발표되었다.
ARIC(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연구는 1985년부터 미국의 4개 지역에서 수행되고 있는 전향적 역학 연구로, 이 연구에서 현 음주자와 음주 경험이 없는 45~64세 12,433명을 조사하였다. 참가자들은 맥주, 와인 및 기타 주류의 주당 섭취량을 자가 보고하도록 하였다. 다변량
콕스 비례 위험 회귀 분석(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to Assess)을 사용하여 평생 금주 대비 현재의 음주와 허혈성 뇌경색과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발생과의 연관성 그리고 성별-인종에 따른 변화를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참가자의
1/3은 금주, 39%와 24%는 각각 주당 3잔 이하와 4~17잔, 그리고 5%는 과음을 한다고 자가 보고하였다. 중앙값 약 22.6년간의 추적기간 동안 773건의 허혈성 뇌경색과 81건의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이
있었다.
허혈성 뇌경색의 경우 소량에서 중간량의 음주는 발생과는
무관하였으나(위험비, 0.98; 95% CI, 0.79~1.21;
1.06, 0.84~1.34), 과음은 금주에 비해 31%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위험비, 1.31; 95% CI, 0.92~1.86).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의 경우, 소량은 아니었지만,
중간량에서 과량의 음주는 발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위험비, 1.99; 95% CI, 1.07~3.70).
결론적으로 중년을 20년간
추적한 ARIC 연구(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에서 자가 보고상 소량에서 중간량의 음주는 금주에 비해 뇌졸중의 위험 감소와 연관이 없었으며, 과음의 경우 뇌경색과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의 위험을 모두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Source : Sara B. Jones, PhD, MPH; Laura Loehr, MD,
PhD; Christy L. Avery, PhD; Wayne D. Rosamond, PhD, MS From the Department of
Epidemiology, Gillings School of Global Public Health,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Rebecca F. Gottesman, MD, PhD From the Cerebrovascular
Division, Department of Neurology,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D; Lisa Wruck, PhD From the Department of Biostatistics, Gillings
School of Global Public Health, UNC-Chapel Hill, NC; Eyal Shahar, MD, MPH From
the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Division, Mel and Enid Zuckerman College of
Public Health, University of Arizona, Tucson. Midlife Alcohol Consumption and
the Risk of Stroke in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Storke. 2015;
46: 3124~3130. Published online before
print September 24, 2015, doi: 10.1161/STROKEAHA.115.01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