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May 24, 2014

Elevated CRP Levels may be a Predictor of Persistent Unfavourable Symptoms in Patients with mTBI

CRP(C-reactive Protein) 증가는 경도 외상성 뇌손상의 나쁜 증상의 지속에 대한 예측 인자가 될 수 있다.
 
경도 외상성 뇌손상(mild traumatic brain injury, mTBI) 후 나쁜 증상의 지속되는 병태생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경도의 systemic inflammation이 이에 기여할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자들은 systemic inflammation biomarker인 혈장 hs-CRP level mTBI 환자에서 나쁜 증상이 지속되는 것과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213명의 mTBI환자에서 혈장 hs-CRP level baseline, TBI 발생 후 1, 2, 3 개월 시점에 측정했다.
 
이 연구의 endpoints ICD-10 DSM-IV 및 뇌손상 3개월 후 Beck anxiety inventory(BAI),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MoCA) 등으로 평가된 persistent postconcussion syndrome(PCS), persistent psychological problems(depression and anxiety), persistent psychological problems(frequent headache, nausea, insomnia, dizziness and fatigue) persistent cognitive impairment 를 포함했다.
 
Baseline CRP level과 지속되는 나쁜 예후 사이의 관계는 다양한 혼란변수를 보정한 multiple regression model을 통해 추정되었다.
 
Baseline CRP level의 증가는 persistent PCS(odds ratio [OR], 2.719; 95% confidence interval [CI], 1.609~4.594; p=0.000), persistent psychological problems(OR, 1.535; 95% CI, 1.063~2.216; p=0.022), and persistent cognitive impairment(OR, 1.687; 95% CI, 1.135~2.507; p=0.010)의 발생과 관련이 있었다.
 
하지만 CRP level의 증가는 persistent physiological problems과는 관련성이 없었다(OR, 1.330; 95% CI, 0.905~1.956; p=0.146).
 
결론적으로 baseline CRP level mTBI 발생 후 persistent persistent PCS, psychological problems and cognitive impairment 발생을 예측하는 독립적인 인자가 될 수 있다고 하겠다.
 
Source : Su SH, Xu W, Li M, Zhang L, Wu YF, Yu F, Hai J. Elevated C-reactive Protein Levels may be a Predictor of Persistent Unfavourable Symptoms in Patients with Mild Traumatic Brain Injury: A Preliminary Study. Brain, Behavior, and Immunity. 2014 May; 38:111-7. DOI: 10.1016/j.bbi.2014.01.009. Epub 2014 Jan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