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April 21, 2012

Symptomatic intracranial hemorrhage after stroke thrombolysis: The SEDAN Score

SEDAN 스코어를 이용한 혈전용해술 후 뇌출혈의 예측
 
혈전 용해술을 시행한 급성 뇌경색 환자의 예후를 악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증상성 뇌출혈을 들 수 있다. 뇌출혈은 정의에 따라 발생률에 다소 차이는 있으나, 급성 뇌경색에서 혈전 용해술 후 1.7~10.3% 정도의 빈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혈전 용해술 시행 후 뇌출혈을 예측할 수 있는 간단하고 의미 있는 점수 체계가 있다면 뇌출혈의 위험이 높은 환자를 감별하거나, 뇌출혈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집중적인 관찰이 필요한 환자를 선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SEDAN score 라는 스코어링 시스템이 Annals of Neurology 에 실렸다.
 
저자들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 헬싱키 대학병원에서 증상 발생 후 4.5시간 이내에 혈전 용해술을 시행한 9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뇌출혈은 NIHSS 4점 이상 악화시키는 증상성 뇌출혈로 정의 하였다.
 
SEDAN score 0에서 6점으로 구성되며 다음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baseline blood Sugar(glucose; [145–216mg/dl]= 1; [>216 mg/dl]=2)
 
Early infarct signs (yes=1) on admission CT
 
Hyperattenuation comprision<1/3 of the MCA territory
 
Obscuration of the lentiform nucleus
 
Loss of basal ganglion outline
 
Loss of insular ribbon
 
Obstruction of the sylvian fissure, or cortical sulcal effacement
 
(hyper)Dense cerebral artery sign (yes=1) on admission CT
 
Age (>75 years =1)
 
NIH Stroke Scale on admission (≥10=1)
 
위 스코어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점수에 따른 뇌출혈의 위험률을 측정한 결과, 위험률은 각각 1.4%, 2.9%, 8.5%, 12.2%, 21.7%, and 33.3% (for 0, 1, 2, 3, 4, and 5 score points) 로 측정되었으며, 828명의 스위스 코호트 연구를 바탕으로 재측정한 결과, 점수에 따라 1.0%, 3.5%, 5.1%, 9.2%, 16.9%, and 27.8%(for 0, 1, 2, 3, 4, and 5 score points) 로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SEDAN score 자체가 혈전 용해술의 시행 여부를 결정할 수는 없지만, 이를 활용하여 혈전 용해술 후의 뇌출혈의 위험도 측정에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ource: Daniel Strbian MD, PhD, Stefan Engelter MD, PhD, Patrik Michel MD, Atte Meretoja MD, PhD, MSc, Lucka Sekoranja MD, MSc, Frank J. Ahlhelm MD, Satu Mustanoja MD, PhD, MSc, Igor Kuzmanovic MD, Tiina Sairanen MD, PhD, MSc, Nina Forss MD, PhD, Maria Cordier MD, Philippe Lyrer MD, PhD, Markku Kaste MD, PhD, Turgut Tatlisumak MD, PhD. Symptomatic intracranial hemorrhage after stroke thrombolysis: The SEDAN Score. Annals of Neurology. Volume 71, Issue 5, pages 634-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