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w to tie shoelaces
tightly
우리 아이만
그런 것일까? 우리 아이에게만 유독 관심을 보여서 일까? 신발끈이
풀린 채로 걷고 있는 것을 자주 본 적이 있다. 내 딴에는 아무리 단단히 매어준다고 했는데도 어느 새인지
도로 풀려져 있는 것이 '도무지 왜 그럴까?'하고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있었다.
생각해 보면, 신발끈이 자주 풀리는 경험이 비단 아이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었다. 본인의
경우도 유독 자주 풀리는 신발끈이 있었다. 살아가면서 풀리는 신발끈 때문에 짜증을 경험해 본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라 생각하고, 우연히 접하게 된 ‘Ian Fieggen’의 ‘신발끈 매듭법’ 중 3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 Method-1.
신발끈을 가볍게
한번 돌려 묶은 뒤에 두 끈을 토끼귀를 만들어 교차시킨다. 교차시킨 두 끈의 올가미를 서로 다른 끈의
중간부분에 감싼 후, 동그랗게 만들어진 구멍에 넣는다. 양쪽
끈의 올가미 부분을 끄집어 내어 당긴다.
자세한 단계는
아래와 같다.
Step 1.
Tie a
Starting Knot as shown, then make both laces into "loops" by simply
doubling them back onto themselves. People often refer to these as "Bunny
Ears". (양쪽 끈을 한번
돌려 묶은 후 올가미 모양으로 만든다. 흔히 “토끼귀”라고 한다)
Step 2.
Cross
the two loops over each other so that the right (blue) loop ends up in front
and the left (yellow) loop ends up behind. The yellow loop is now the right
loop. (왼쪽의 노란색
끈이 오른쪽의 파란색 끈 뒤에 오게 한다. 이때 노란색 끈 올가미는 오른쪽에 오게 된다)
Step 3.
Begin
to wrap the right (yellow) loop around the left (blue) loop to end up in front.
(오른쪽에 있는
노란색 끈 올가미로 파란색 끈을 감싼다)
Step 4.
At the
same time, begin to wrap the left (blue) loop around the back. You will end up
with the ends of both loops on opposite sides of the “hole” in the middle. (마찬가지로, 왼쪽에
있는 파란색 끈 올가미로 노란색 끈을 감싼다. 두 끈으로 만들어진 중앙의 “구멍”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에 끈의 올가미 끝이 위치하게 된다)
Step 5.
Feed
both ends of the loops through the hole in the middle. The right (yellow) loop
gose out the back and the left (blue) loop comes out the front. (중앙에 있는 구멍으로 각각의 끈의 올가미를 집어 넣는다. 노란색 끈 올가미는 구멍을 통과하여 오른쪽으로, 파란색 끈 올가미는
구멍을 통과하여 왼쪽으로 나오게 한다)
Step 6.
Now,
simply pull the loops the tighten the knot. The whole twisted mess of the
previous drawing will rearrange itself into a neat finished knot. Trust me, it
works! (이제, 양쪽으로 향한 올가미를 잡아당기면 풀리지 않는 단단하고 깔끔한 매듭이 완성된다)
◈ Method-2.
◈ Method-3.
※ 자료원: Ian’s
Shoelace Site(http://www.fieggen.com/shoelace/knots.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