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July 15, 2016

Nerve Stimulation Enhances Task-Oriented Training in Chronic, Severe Motor Deficit After Stroke: A Randomized Trial

중증 마비를 가진 만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전기자극치료가 과제지향훈련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결과

감각자극을 기반으로 하는 말초신경 전기자극치료(peripheral nerve stimulation)는 경도-중등도의 편마비(hemiparesis) 뇌졸중 환자의 운동치료 효과를 높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 능동적 움직임을 거의 보이지 않는 심한 마비 환자에서도 전기자극치료와 운동치료를 함께 시행하는 것이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 본 무작위 대조군 연구 결과가 Stroke 학술지에 발표되어 소개하고자 한다.

만성기의 중증의 편마비 뇌졸중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으며 한 그룹은 실제 전기자극치료를, 다른 그룹은 sham 전기자극치료를 2시간동안 시행하고 나서 두 그룹 모두 4시간의 집중적 과제지향훈련(intensive task-oriented training)을 매일 총 10회 시행하였다.

전기자극은 Erb’s point, radial nerve, median nerve를 자극하며, 작은 크기의 복합유발전위를 유발시킬 수 있는 자극강도(50~100 μV)로 자극하였다. 상지 운동기능(Upper extremity movement function) 평가는 치료 전, 치료 종료직후, 치료 종료 1달후에 Fugl–Meyer Assessment(FMA, primary outcome measure), Wolf Motor Function Test(WMFT), Action Research Arm Test(ARAT)를 측정하였다.

치료 전과 치료 직후, 치료 전과 치료 종료 1달후 FMA(Fugl–Meyer Assessment) ARAT(Action Research Arm Test)의 변화 량은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MA P=0.008, P=0.025; ARAT P=0.015, P=0.025). WMFT(Wolf Motor Function Test) 변화는 치료전과 치료직후에만 두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0).

실제 전기자극치료를 시행한 군에서만 모든 평가지표에서 치료 종료 1달 후에 그룹 내 유의한 호전을 보였고, 치료 후 한 개 이상의 시점과 한 개 이상의 평가지표에서 최소한의 측정 가능한 변화치(MDC, minimal detectable change)와 최소한의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값(MCID,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을 넘게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뇌졸중 후 집중적 과제지향훈련(intensive task–oriented training)과 함께 전기자극치료(peripheral nerve stimulation)를 시행하는 것은 심하게 마비된 상지 운동기능(upper extremity movement function)을 유의하게 호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더 많은 다양한 중증도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Source : Cheryl Carrico, MS, OT/L; Kenneth C. Chelette II, MS; Philip M. Westgate, PhD; Elizabeth Powell, MS; Laurie Nichols, BS, OT/L; Anne Fleischer, MPH, OT/L, CLT-LANA; Lumy Sawaki, MD, PhD. From the Department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C.C., K.C.C., E.P., L.N., L.S.) and Department of Biostatistics, College of Public Health (P.M.W.), University of Kentucky, Lexington; HealthSouth Cardinal Hill Rehabilitation Hospital, Lexington (L.N., L.S.); Department of Occupational Science and Occupational Therapy, Eastern Kentucky University, Richmond (A.F.); and Department of Neurology, Wake Forest University, Winston-Salem, NC (L.S.). Correspondence to Lumy Sawaki, MD, PhD, Department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HealthSouth Cardinal Hill Hospital, University of Kentucky, 2050 Versailles Rd, Lexington, KY 40504. E-mail lsawa2@uky.edu. Nerve Stimulation Enhances Task-Oriented Training in Chronic, Severe Motor Deficit After Stroke: A Randomized Trial. Stroke. 2016; 47: 1879-1884, published online before print May 17 2016, doi:10.1161/STROKEAHA.116.012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