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April 14, 2016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n Effects of Mirror Therapy in Stroke Patients with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1형 복합부위통증 증후군을 가진 뇌졸중 환자의 거울치료의 효과에 관한 무작위 연구
 
거울치료는 시각적 바이오피드백을 통한 체성감각과 고유수용성감각을 이용하는 비침습적이고 간단한 재활치료 도구라는데 이견이 없다.

본 연구는 제1형 복합부위통증 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을 동반한 편마비(Hemiplegia) 환자에서 거울치료의 상지운동기능(upper limb motor functions), 경직(spasticity), 통증강도(pain intensity)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 연구로 무작위 대조군 연구로 진행되었다.
 
대상자는 상지의 제1형 복합부위통증 증후군이 이영양기(Dystrophic stage 異榮養期)로 진단된 성인 환자 30명이었고 15명씩 두 군으로 나누었다(conventional therapy, conventional therapy+mirror therapy).

두 그룹 모두 고식적 재활치료 프로그램(conventional stroke rehabilitation program) 2-4시간/일 주5 4주간 시행하였고, 거울치료 군은 고식적 재활치료에 하루 30분씩 거울치료를 추가하여 시행하였다. 거울치료는 건측 상지를 다양하게 움직이는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며 거울을 통해 환측을 상상하도록 하였다.
 
Outcome으로는 상지의 Brunnstrom recovery stages, Fugl-Meyer Assessment(FMA)의 완관절과 수지기능 영역, 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motor, Modified Ashworth Scale(MAS), visual analog scale(VAS)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4주 치료후 두 그룹 모두 치료 전에 비하여 FIM-motor VAS score가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나 거울치료 군에서 대조 군보다 호전 정도가 더 큰 소견을 보였다(각각 P<0.001, P=0.003). 또한 거울치료 군에서는 Brunnstrom recovery stage FMA score의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P<0.05). 두 군 모두 MAS score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제1형 복합부위통증 증후군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에서 고식적 재활치료(conventional stroke rehabilitation program)에 거울치료를 추가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고식적 재활치료만 시행했을 때보다 상지 운동기능(upper limb)과 통증 개선(pain perception)에 더 큰 효과를 제공하였다.

더 많은 제1형 복합부위통증 증후군을 가진 편마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보다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Source : Pervane Vural Secil, Nakipoglu Yuzer Guldal Funda, Sezgin Ozcan Didem, Demir Ozbudak Sibel, Ozgirgin Nese. Effects of Mirror Therapy in Stroke Patients with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April, 2016; Volume 97, No. 4: 575-581. doi: 10.1016/j.apmr.2015.12.008. Epub 2015 Dec 23.
(http://www.ncbi.nlm.nih.gov/pubmed/26723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