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 환자에서 신장 기능의 장애와 뇌졸중
위험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의 뇌졸중 위험을 예측을 위해서는 주로 CHADS2 점수를 많이 사용한다. 최근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여러 개의 큰 임상 연구가 진행되어서 이를 이차 분석한 연구결과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신장
기능의 장애가 CHADS2에 함께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의 뇌졸중 발생 위험을 예측한다는 연구가 순환기학회(Circulation)지에 발표되었다.
심방세동
환자에서 Rivaroxaban의 효과를 연구했던 ROCKET-AF에
포함되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뇌졸중의 위험을 예측하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CAHDS2 점수에
포함되어 있는 인자들 이외에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뇌경색의 발생에 중요한 예측인자가임을 발견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점수제를 만들었고, 이러한 점수제를 적용하면
CHADS2 점수에 비해 Net reclassification index가 8.2%였다. 이를, 심방세동
환자의 또 다른 코호트인 ATRIA(AnTicoagulation and Risk factors In Atrial
fibrillation)에 적용하여 검증했을 때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CHADS2 점수에
비해 Net reclassification index가 22.6%였다. 최근 새로운 항응고제가 여러 종류 개발되면서 심방세동 환자의 항응고치료제 적용 기준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CAHDS2 에
비해 더 자세한 위험 분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Source: Jonathan P. Piccini, MD, MHS; Susanna R. Stevens, MS; YuChiao Chang,
PhD; Daniel E. Singer, MD; Yuliya Lokhnygina, PhD; Alan S. Go, MD; Manesh R.
Patel, MD; Kenneth W. Mahaffey, MD; Jonathan L. Halperin, MD; Günter Breithardt,
MD; Graeme J. Hankey, MD; Werner Hacke, MD, PhD; Richard C. Becker, MD;
Christopher C. Nessel, MD; Keith A.A. Fox, MB, ChB; Robert M. Califf, MD; for
the ROCKET AF Steering Committee and Investigators. Renal Dysfunction as a
Predictor of Stroke and Systemic Embolism in Patients With 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Validation of the R2CHADS2 Index in the ROCKET AF(Rivaroxaban
Once-daily, oral, direct factor Xa inhibition Compared with vitamin K
antagonism for prevention of stroke and Embolism Trial in Atrial Fibrillation)
and ATRIA(AnTicoagulation and Risk factors In Atrial fibrillation) Study
Cohorts. Circulation. 2013 January 15;127(2):224~232. Published online before
print December 3, 2012, doi: 10.1161/CIRCULATIONAHA.112.107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