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September 08, 2015

Clinical Implications of Changes in Individual Platelet Reactivity to Aspirin Over Time in Acute Ischemic Stroke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의 시간에 따른 아스피린에 대한 혈소판 반응성 변화에 관한 임상적 연구

시간에 따른 개인의 혈소판 반응성(Individual Platelet Reactivity) 변화가 관상 동맥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에,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 후 급성기(Acute Stage) 동안 아스피린(Aspirin)에 대한 혈소판 반응성(Platelet Reactivity)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아스피린에 대한 다양한 환자의 반응 등 임상적 의미를 평가한 국내 연구진에 의한 연구가 최근 Stroke지에 발표되어 소개하고자 한다.

단일기관, 전향적 관찰 연구로 진행된 이 연구는, 아스피린 로딩 후 3시간 후에 급성Aspirin Reaction Unit (ARU)를 측정하였는데, 높은 ARU값은 아스피린 요법에도 불구하고 혈소판 반응이 증가 된 것을 의미한다. 후속 ARU는 지속적인 아스피린 섭취 다섯 번째 날에 측정하였다. 후속 ARU 및 급성 ARU 사이의 숫자 차이는 ΔARU로 정의하고 분위수로 층화 하였다. 초기 신경 악화(Early Neurological Deterioration; END)를 초기 임상 결과로 하였다.

분석결과, 급성 ARU (476 ± 69 IU) 및 후속 ARU (451 ± 68 IU) 모두가 349 명에서 측정 되었다. END(Early Neurological Deterioration) 72(20.6%)에서 관찰되었다. 시간이 따른 아스피린 혈소판 반응성의 변화는 거의 가우스 분포를 보였다. 가장 높은 ΔARU의 분위는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상 독립적으로 END와 관련이 있었다(교차비 3.19, 95% 신뢰 구간, 1.43-7.10; P = 0.005).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시간에 따른 아스피린의 혈소판 반응성(Aspirin Platelet Reactivity)의 증가는 독립적으로 급성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 환자에서 초기 신경학적 악화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허혈성 뇌졸중의 급성 단계(Acute Stage after Ischemic Stroke)에서, 단일 분석(Single Platelet Reactivity Assay)보다는 연속적인 혈소판 반응성 분석(Serial Platelet Reactivity Assays)이 허혈성 뇌졸중 이후 아스피린 혈소판 반응(Aspirin Platelet Reactivity)의 임상적 의미를 식별하기 위한 측면에서 더 유용 할 수 있다는 것도 밝혀졌다.

※ Source : Joon-Tae Kim, MD, PhD; Suk-Hee Heo, MD; Kang-Ho Choi, MD; Tai-Seung Nam, MD; Seong-Min Choi, MD; Seung-Han Lee, MD; Man-Seok Park, MD; Byeong C. Kim, MD; Myeong-Kyu Kim, MD; Jeffrey L. Saver, MD, PhD; Ki-Hyun Cho, MD. Clinical Implications of Changes in Individual Platelet Reactivity to Aspirin Over Time in Acute Ischemic Stroke. Stroke. September, 2015. Volume 46, 2534-2540. Published online before print July 28, 2015. doi: 10.1161/STROKEAHA.115.009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