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쥐 모델에서 alpha-lipoic acid 치료가 신경 복원과 기능 회복을 증진시키는 효과
alpha-lipoic acid (aLA)의
항산화효과는 신경세포의 증식 및 회복과 밀접한 관련이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뇌 허혈-관류손상 시 aLA가
신경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뇌동맥폐쇄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모델을 이용하여 뇌 허혈-관류손상에서 aLA의 신경회복 및 예후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뇌 허혈-관류손상 모델은 8주
male Spraque-Dawley rat을 이용하여 2시간동안
MCAO후 재관류를 시행하여 제작하였다. aLA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재관류 직후 좌측 외경정맥에 20mg/kg의 aLA를
주사하였다(n=71). 이후 4주간 추적관찰을 시행하여 신경학적
기능, 내인성 신경전구세포의 활성화, 교세포의 활성화, 뇌의 대사정도를 대조군(n=71)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aLA를 투여한 군은 대조군에 비해 사망률, 뇌경색의 크기, 신경학적 이상이 적었고 Rotarod test로 측정한 신경학적 기능의 회복이 더 컸다. 면역조직학적
염색에서도 aLA 투여군은 infarct core 및 infarction borderzone에서 nestin과 GFAP의 활성이 증가되어있었다. 또한 newborn cell의 marker인 BrdU, astrocyte의 marker인 GFAP, neuronal progenitor cell의 marker인
doublecortin, mature neuron의 marker인
NeuN의 활성이 infarction borderzone에서
각각 7, 14, 28일째에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어있었으며 FDG
microPET검사상에서도 뇌의 대사가 aLA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어있었다. 또한, 이러한 aLA의
효과는 insulin 수용체 길항제인 HNMPA (AM) 3에
의해서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허혈성 뇌손상에서 aLA가 인슐린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하여 신경회복에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
Source : Kang-Ho Choi, Man-Seok Park, Hyung-Seok Kim, Kyung-Tae Kim, Hyeon-Sik
Kim, Joon-Tae Kim, Byeong-Chae Kim, Myeong-Kyu Kim, Jong-Tae Park and Ki-Hyun
Cho. Alpha-lipoic acid treatment is neurorestorative and promotes functional
recovery after stroke in rats. Molecular Brain. 2015 Feb 11; 8(1): 9.
doi:10.1186/s13041-015-0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