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March 28, 2015

Cerebral Microbleeds and Early Recurrent Stroke After Transient Ischemic Attack Results From the Korean Transient Ischemic Attack Expression Registry

일과성 뇌허혈 발작후 조기 뇌졸중 재발과 미세출혈: 한국 일과성 뇌허혈 발작 등록 연구

일과성 뇌허혈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 TIA)후 조기 뇌졸중 재발 위험에 미세출혈(Cerebral Microbleeds, CMBs)이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표되었다.

병원 기반 다기관 전향적 코호트 연구(Multicenter Prospective Cohort Study), 2010 7 1일부터 2012 12 31 일까지 국내 11 개 대학 병원에서 등록된 증상 발현 후 24시간 이내 내원하여  확산 강조 영상 MRI를 시행한 TIA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차 endpont 90일내 뇌졸중 재발로 하였다.

500명의 환자가 가이드라인 기반의 치료로 90일간의 추적 관찰을 완료하였다(평균 연령, 64; 남성, 291 [58.2 %] 중간 ABCD2 점수, 4); 항혈소판제(Antiplatelets) (457 [91.4 %]), 항응고제(Anticoagulants) (74 [14.8 %]), 및 스타틴(Statins) (345[ 69.0 %]).

재발성 뇌졸중(Recurrent stroke) 25(5.0%)에서 발생했다. 뇌졸중 재발이 없는 환자에 비해  뇌졸중 재발을 한 사람들은 진정성 TIA(crescendo TIA) (20 [4.2 %] vs 4 [16.0 %], P=0.03), 백질 고음영(146[30.7 %] vs 13 [52.0 %], P=0.03) 및 미세출혈(36 [7.6 %] vs 7 [28.0 %], P=0.003)이 더 많았다.

다변량 콕스 비례 위험 분석(Multivariable Cox proportional hazards analysis)에서 미세출혈(CMBs)은 재발성 뇌졸중의 독립적인 예측 인자(위험비 3.66; 95 % CI, 1.47-9.09; P=0.005 )로 남아 있었다.

Source : Jae-Sung Lim, MD, MSc; Keun-Sik Hong, MD, PhD; Gyeong-Moon Kim, MD, PhD; Oh Young Bang, MD, PhD; Hee-Joon Bae, MD, PhD; Hyung-Min Kwon, MD, PhD; Jong-Moo Park, MD, PhD; Seung-Hoon Lee, MD, PhD; Joung-Ho Rha, MD, PhD; Jaseong Koo, MD, PhD; Kyung-Ho Yu, MD, PhD; Woo-Keun Seo, MD, PhD; Kyung Bok Lee, MD, PhD; Yong-Seok Lee, MD, PhD. Cerebral Microbleeds and Early Recurrent Stroke After Transient Ischemic Attack Results From the Korean Transient Ischemic Attack Expression Registry. JAMA Neurology. March 2015, Volume 72, No. 3: 301-308. doi:10.1001/jamaneurol.2014.3958.